본문 바로가기

역사/고려 역사

고려 광종 왕권강화 방법 그리고 최초 과거제도 고려 광종때 세워진 은진미륵 광종은 3대 정종과 함께 왕건과 신명왕후 유씨 사이에서 태어난 동모형제로 정종을 뒤이어 왕이에 올랐습니다. 광종도 정변을 일으킨 공신들의 추대로 왕위에 오른만큼 신하들의 입김이 강해 왕권이 취약하였습니다. 따라서 광종은 신하들인 유신성,장평달,최지몽,서필 등의 도움으로 4단계에 걸쳐 왕권강화책을 조심스럽게 추진하였습니다. 왕권강화의 첫번째로는 호족들을 안심시키는 전략이었는데 광종은 즉위한 후 7년 동안 호족들을 안심시키고 무마하는 정책으로 공신전인 예식을 통일하고 공신의 등급과 예우법을 정하였고 호족들은 광종의 예우책에 현혹되어 공신명부가 자신들의 목줄을 겨녕한 살생부란 사실을 관과하였습니다. 두번째로는 호족들의 경제력과 군사력을 약화시키는 전략이었는데 사노비를 해방시켜 양민..
최치원 당나라에서 신라로 돌아온 까닭은 시무10조(시무10책) 때문일까? 최치원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최치원은 대표적인 유학생출신으로 도당유학생이라고도 합니다. 도당유학생은 신라의 골품제도 아래에서는 출세의 길이 막히자 당나라로 유학한 사람들을 말하는데요 보통은 세분류로 나뉩니다. 군인,학생,승려 세가지인데 군인의 대표적인 성공사례는 장보고라고 할 수 있죠. 승료로는 의상,표훈등이 이름을 남겼으며 학자로는 최승우,최치원,최언위가 현재 잘 알려져 있는 인물 입니다. 최치원은 12살에 당나라에 들어가 빈공과라는 과거에 급제하여 선주 율수현의 현위가 됩니다. 황소농민군의 반란이 일어나자 토벌대장이었던 고변의 추천으로 최치원은 종사관에 임명되어 유명한 토황소격문을 지어 이름을 날라기 시작했습니다. 최치원은 황소농민군의 반란이 끝나고 신라로 귀국하여 대산군의 태수가 되는데..
고려 건국의 역사적 의의는? 고려 건국의 역사적 의의 발해가 멸망하고 통일신라는 3국으로 분열이 시작된 열국시대는 고려통일로 막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분열과 전쟁의 끝이며 평화의 시대가 온다는 신호와도 같은말 이었습니다. 왕건은 해상세력의 주체로 성장하여 국제적 식견이 탁월하였고 원만한 성격과 포용력으로 반궁예 전선을 형성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평화통일 정책으로 신라의 우두머리인 경순왕과 견훤의 귀순을 유도하였으며 인재 등용의 균형감각을 통해 지역 차별의 해소를 추구하였습니다. 이것으로 인해 고려가 전국적 민심의 지지 기반을 이끌어 냈습니다. 왕건의 고려건국은 고려가 고루려 계승의 정통성을 계승하였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고려는 건국의 명분론을 수립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발해유민을 적극적으로 포용하여 고려 건국의 정당성을 대내외..
공민왕의 대외,대내적 개혁정책은 무엇일까? 공민왕의 개혁정치 고려는 원종11년에 강화도에서 개경으로 환도를 하였습니다. 그 이후에 공민왕 5년까지 원나라의 간섭을 지속적으로 받았습니다. 원나라의 간섭은 고려백성이 원나라에 의한 간섭과 수탈로 인해 반원감정이 극에 달아있을 시기였습니다. 이러한 시대적인 배경에 공민왕이 고려의 임금으로 즉위하였는데 즉위한 1351년은 중국에서 백련교도인 흥건농민군이 대대적인 봉기를 일으킨 해였습니다. 공민왕은 원나라에서 생활하다 고려로 넘어와서 임금이 되었기 때문에 누구보다도 원나라의 사정을 제대로 알고있었는데 공민왕은 2가지 측면에서 개혁을 추진하였습니다. 첫째는 왕권강화를 통해 내부개혁을 추진했었고 두번째로는 오랫동안 지속되어온 원나라의 간섭과 지배에서 벗어나는일을 추진했습니다. 일단 공민왕은 왕권강화를 위해 무..